옥포해전
이순신은 출전 준비를 마치고 이억기의 함대가 도착하기만을 기다렸으나 늦어지자 5월 4일 단독으로 출전을 명한다. 이 첫 출전에는 전라좌수영의 모든 함선이 망라되었는데
첫 출전에서 이순신의 함대는 이미 달아나 버린 각지의 군관들을 불러 모았으나 후방의 군관들 중 달아난 자가 많아 배후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며 전진해야 했다. 이에 이순신은 척후선을 좌우 2개의 수색조로 편성해 운영하면서 전진해 갔다. 이순신은 5월 5일 당포 앞바다에 도착해 원균과 합류하여 왜적을 요격하려 하였으나,
비록 이름뿐인 경상우수군 함대와의 합류였으나 형식적으로는 연합함대를 구성하게된 것이다. 수색을 계속한 끝에 5월 7일 거제도 옥포 앞바다에서 우척후선 선장 김완, 좌척후선 선장 김인영이 옥포만에 정박중인 왜 선단을 발견하는데 성공한다. 이때까지 입수한 정보로 왜의 함선은 처음의 500척보다 훨씬 많은 700여척으로 파악되고 있었으므로
5월 7일 정오경 옥포 앞바다를 돌아선 척후선으로부터 3발의 신기전(神機箭)이 발사되었다. 적을 발견했다는 신호이면서 적선이 30척으로 보인다는 뜻이기도 했다. 돌연 병사들이 술렁대기 시작했다. 이때
옥포만에 정박하고 있던 왜함대는 도도 다카토리와 호리우치 우치요시 함대의 연합함대로 남해의 해로를 여는 정예의 최선봉 함대였다. 이들은 부산진과 김해를 함락시키고 5월 6일 10시경 율포를 유린한 후 5월 7일 아침에 이곳 옥포에 도착한 것이었다. 이들은 이곳까지 오는 동안 조선 수군을 찾아볼 수 없었으므로 승리의 자축연을 열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은
일본 함대의 다카토라에게는 이것이 조선 해군이 전혀 경험이 없거나 이미 겁을 먹고 달아나는 것처럼 보였다. 더욱
조선 해군과의 첫 전투에서 패할 수 없었던 다카토라는 부하들을 격려하며 전력을 다해 전투를 지휘하여 조선의 전함에 기어오르도록 하였으나, 그때마다 200여개의 산탄이 발사되거나 발화탄을 맞아 병사들이 대량으로 쓰러지거나 배에 불이 붙어 도저히 싸울 수가 없었다. 차츰 일본 해군의 전투력은 상실되어 갔고 결국
지휘관인 다카토라는 기함이 격침되면서 물에 뛰어들어 인근의 섬으로 피했다가 수일만에 뗏목을 타고 간신히 탈출하였고,
이때 사용된
하치로는 임진왜란의 일방적인 패배를 깊이 연구하여 마침내 이순신의 학익진과 정(丁)자 타법의 비밀을 알아내었고, 이를 러시아의 발틱 함대와의 전투에 응용함으로써 승리한 것이다. 이를 일본에서는 T자 전법이라 부른다. 하치로는 이 전투에서 승리한 후 이순신을 군신(軍神)으로 섬겼다고 한다.
▶ 학익진과 정자 타법
학익진(鶴翼陣)과 정(丁)자 타법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학익진은 기본적으로 그림에서 보듯이 적은 아군에게 종대가 되도록 하고, 아군은 횡대가 되도록 배치하는 형태에 적을 감싸 안듯 양 날개가 휘어진 배치가 된다. 이런 배치는 아군의 포격 유효 사거리 안에 적을 최대한 집어넣기 위한 것이다.
4열 종대의 적선 100척과 이순신 장군의 함대 10척이 대적을 했다면, 병력의 차이는 100:10이지만 접전하는 시점에서는 4:10이 되어 그 비율이 역전된다. 이 같은 원리를 실전에 적용한 것이 학익진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실전에서는 이대로 되지는 않겠지만, 하여간
여기에 이순신은 본문중의 설명처럼 함포전을 통한 일정한 거리의 유지로 그 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다시 이순신은 조선 수군이 보유한 판옥선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더욱 큰 효과를 창출해 낸다. 즉 판옥선의 특징을 이용한 것인데, 이 배는 배의 바닥이 평평해 빠르게 달릴 수는 없으나, 홀수선(배가 물속에 잠기는 선)이 낮아 수심이 낮은 서해에서 유리하며, 특히 양측의 노를 반대로 젓는 것으로 제자리에서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자리에의 회전은 판옥선을 쉽게 돌려 측면에 설치된 화포를 적에게 발포함으로써, 선수와 선미에 설치된 2문 내외의 화포에 비해 5배인 10여문의 화포를 빠르고, 또 일시에 발포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학익진의 형태에서 종대로 내려오는 적은, 위의 예에서 4척이 각각 2문씩 총 8문의 화포를 발포할 수 있지만,
다시 판옥선의 제자리 회전 기능을 적극 활용한다면, 좌현의 포를 발포할 때, 우현은 장전을 하고, 발포가 끝나면 배를 회전시킨다. 이 시간에 발포를 마친 좌현은 장전을 하고, 장전이 끝난 우현이 적에게 향하면 다시 발포한다. 다시 배는 회전하고 회전이 끝나면 장전이 마쳐진 좌현이 다시 발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서 앞서의 8:100은 다시 8:200의 비율로 역전이 된다. 바로 이것이 정(丁)자 타법으로 적선에 화포가 많은 측면을 향하게 하는 것이 핵심인 것이다. 위의 학익진도는 바로 학익진과 정자타법이 동시에 적용되는 형태인 것이다.
이쯤의 설명이 충분한지는 모르겠으나,
이순신의 학인진도를 보면 얼마나 정교한 진형인지 감탄하게 된다. 그림의
그림에서의 학익진도는 학익진 안에 작은 학익진을 배치한 형태로, 진의 중심부에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를 없애면서 병력의 집중을 통한 종심돌파마저 확실하게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흐르는 물살과 바람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런 형태의 진을 수십척의 함선이 유지하기란 매우 어렵다. 모든 함선이 제자리를 고수하는 것도 어려운데, 레이더 등이 없어 정확한 위치를 알기도 어렵고, 육안에 의해 수평적으로 밖에 볼 수 없는 바다에서 진의 형태를 바로 잡으며 위치를 관리하는 지휘부는 더욱더 어렵게 마련이다.
첫 번째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이순신 함대는 정자 타법의 자신감과 함께 사기까지 충천하여 연이어 합포, 적진포 등에서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어 다음과 같은 전과를 기록하게 된다.
참전 전함 : 조선 - 27척
일본 - 옥포 35척, 합포 5척, 적진포 13척 등 총 53척
격침 : 조선 - 없음
일본 - 총 42척
전사자 : 조선 - 없음
일본 - 6920여 명
부상자 : 조선 - 2명
일본 - ?
1차 출전에서 세계 해전 사상 초유의 기록을 세운 이순신의 함대는 모든 병사들이 자신감을 얻는 또 다른 성과를 거두며 개선하여 전라좌수영으로 돌아왔다. 이순신이 돌아오자 전라좌수영에는 놀라운 소식이 와 있었다. 선조가 백성들을 속여 안심시키고는 혼자 야밤에 도주했고 이에 분개한 백성들이 경복궁과 창경궁 등을 불태웠으며, 길가의 백성들도 도망가는 선조에게 돌을 던지며 저주했다는 것이다.
- 출처 네이버 블로그 하늘과 바람을 벗삼아
'소소한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명량대첩 (0) | 2005.08.02 |
---|---|
[스크랩]부산포 해전 (0) | 2005.08.02 |
[스크랩]한산도 대첩 (0) | 2005.08.02 |
[스크랩]사천포 해전 (0) | 2005.08.02 |
[스크랩]이순신 (0) | 2005.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