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의 종류
1. 거울
뒤쪽이 불투명하여 앞쪽 면에서 빛이 반사되는 물체
2. 거울의 종류에 의한 상
(1) 평면 거울
① 상 : 평면 거울 앞에 물체 AB가 있을 때, 물체에서 나오는 빛이 반사의 법칙에 따라 반사하여 관측자의 눈에 도달하면, 관측자에게는 반사되어 들어온 빛이 마치 거울
뒤 A´B´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 A´B´를 물체의 상이라고 한다.
② 평면 거울에 의한 상 : 항상 물체의 크기와 같고 좌우가 반대인 상이 거울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에 대칭으로 생긴다.
(2) 볼록 거울에 의한 상 : 볼록 거울은 빛을 퍼지게 하고, 물체의 크기보다 항상 작은 상이 맺히며, 실제보다 먼 곳에 있는 것처럼 보이고, 평면 거울보다 넓은 범위를 볼 수 있다
(항상 똑바로 서 있는 상이 맺힌다.).
예) 자동차의 백미러, 커브길의 모퉁이나 슈퍼마켓에 설치하는 거울 등
(3) 오목 거울에 의한 상 : 빛을 모이게 하며,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의 크기가 물체의 크
기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물체의 위치에 따라 똑바로 서 있는 상이나, 거꾸로 서 있는 상이 맺힐 수가 있다.).
예) 자동차의 전조등, 손전등 등
빛의 굴절
1. 빛의 굴절
빛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비스듬히 진행할 때,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의 진로가 꺾여서 진행하는 현상
(1) 빛이 굴절하는 까닭 : 서로 다른 물질에서의 빛의 속력이 다르기 때문에 굴절 현상이 일어난다.
(2) 빛이 굴절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 : 꽃병 속의 꽃이 꺾여 보이는 것, 물 속의 젓가락
이 휘어져 보이는 것, 물이 든 그릇 속의 동전이 떠 보이는 것, 물 속의 물고기가 실제
보다 커 보이는 것, 수영장에서 물의 깊이가 실제보다 얕게 보이는 것 등
2. 빛의 굴절과 반사
빛이 진행하다가 다른 물질과의 경계면에 도달하면 경계면에서 일부는 반사되고, 나머지
는 다른 물질 속으로 굴절된다.
3. 굴절의 법칙
(1) 입사 광선과 굴절 광선은 법선의 양쪽에 있고, 두 광선과 법선은 같은 평면상에 있다.
(2) 입사각이 커지면 굴절각도 커진다.
(3) 입사각이 변하면 굴절각도 변하지만 굴절률은 변하지 않는다.
(4) 굴절률 : 서로 다른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꺾이는 정도이다.
그림에서 굴절률== 일정
렌즈
1. 렌즈
공기보다 굴절률이 크고 투명한 물질로 한쪽, 또는 양쪽을 구면으로 만든 것
(1) 볼록 렌즈 : 가운데 부분이 두꺼운 렌즈 예) 돋보기, 원시안의 안경, 눈의 수정체 등
① 빛을 모으는 성질이 있다.
② 물체의 위치에 따라 물체가 확대되어 보이거나 축소되어 보인다.
③ 똑바로 서거나 거꾸로 선 물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 오목 렌즈 : 가운데 부분이 얇은 렌즈 예) 근시안의 안경
① 빛을 퍼지게 하는 성질이 있다.
② 항상 물체가 축소되어 보인다.
③ 항상 똑바로 선 물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2. 원시안과 근시안
① 원시안 : 정상적인 눈보다 물체를 더 멀리서 보아야 잘 보이는 눈으로,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만 가까운 물체는 잘 보이지 않는다. 원시안은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히므
로, 볼록 렌즈의 안경을 사용하여 상을 앞으로 이동시켜 망막에 맺히게 하여 시력을 보
정한다.
② 근시안 : 정상적인 눈보다 물체를 더 가까이에서 보아야 잘 보이는 눈으로, 가까운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만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근시안은 물체의 상이 망막 앞
에 맺히므로, 오목 렌즈의 안경을 사용하여 상을 뒤로 이동시켜 망막에 맺히게 하여 시
력을 보정한다.
3. 렌즈와 거울의 비교
볼록 렌즈와 오목 거울은 빛을 모으는 성질이 있고, 오목 렌즈와 볼록 거울은 빛을 퍼뜨리
는 성질이 있는 점이 유사하다